초 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 혜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군주로, 즉위 후 오나라와의 전쟁으로 수도가 함락된 경험을 교훈 삼아 정치를 개혁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전국 시대 초나라의 기틀을 마련했다. 자서, 자기, 자려 등을 등용하여 내정을 안정시키고, 오나라를 공격하여 오랜 숙원을 해결했으며, 진, 파, 월 등을 공격하여 영토를 넓혔다. 백공 승의 반란을 겪었으나 이를 진압하고 팽창 정책을 지속했으며, 묵자의 설득으로 송나라 공격을 중단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32년 사망 - 청국왕
-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위열왕
주 위열왕은 기원전 425년부터 기원전 402년까지 재위한 주나라의 왕으로, 삼가분진을 단행하여 춘추 시대를 마감하고 전국 시대를 시작하게 했다. - 초나라의 군주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 초나라의 군주 - 웅악
초 혜왕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웅장 (熊章) |
성 | 미 (羋) |
씨 | 웅 (熊) |
시호 | 혜왕 (惠王) |
통치 | |
재위 기간 | 기원전 488년 - 기원전 432년 |
가계 | |
아버지 | 소왕 |
어머니 | 월희 |
왕후 | 진나라 여인 |
주요 사건 | |
백공 승의 난 | 백공 승의 난을 평정 |
기타 | |
사마천의 사기 기록 | 사마천의 사기에 기록됨 |
2. 생애
초 혜왕은 아버지 소왕이 죽은 뒤 왕위를 이었다. 기원전 489년, 오가 진을 공격하자, 혜왕은 군대를 이끌고 진을 구원하러 갔으나, 진중에서 병으로 쓰러져 죽었다. 이후 자서(공자 신)와 자기(공자 결)에 의해 초왕으로 옹립되었다. 혜왕은 군대를 철수시키고 소왕의 장례를 치렀다.[1]
즉위 초, 혜왕은 여러 내외부적 어려움에 직면해야 했다. 이를 극복하고, 이후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통해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기원전 432년, 혜왕이 죽고 아들인 간왕이 뒤를 이었다.[1]
2. 1. 즉위 초 혼란과 극복
기원전 487년, 영윤 자서는 이전에 폐위된 태자 건(建)의 아들 승(勝)을 초나라로 돌아오게 했고, 백읍(白邑, 지금의 허난성 시 현 동쪽)을 주고 백공(白公)으로 봉했다. 백공 승은 귀국한 후 적극적으로 민중들을 모아 정권을 빼앗을 준비를 했다.[1]기원전 480년, 오나라가 월나라에게 격파된 틈을 타서 군사를 거느리고 오나라를 공격했다. 초나라는 장기적으로 오나라 때문에 곤란한 처지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끝을 맺은 것이다.[1]
기원전 479년 6월, 오나라가 초나라의 신읍(愼邑, 지금의 안휘 성 穎上 북쪽)을 공격했다가 백공 승에게 패했다. 백공 승은 전리품을 바쳐 명성을 얻고, 군사를 거느리고 수도인 영으로 들어가 난을 일으켰다. 7월, 영윤 자서와 사마 자기를 죽였고, 혜왕을 겁박하여 자려를 왕으로 세우려 했으나 자려는 따르지 않아 죽였다. 혜왕을 고부(高府)에 안치하였는데, 대부 어공(圉公) 양(陽)이 혜왕을 업고 도망하여 소부인의 거처로 피하였다. 섭공(葉公) 심제량(沈諸梁)이 채(蔡, 州来라고도 함, 지금의 안휘 성 鳳台)에서 백공이 난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군사를 모아 진압하러 갔다. 도성 북문에서 들어가려 할 때, 잠윤(箴尹) 고(固)와 나랏사람들의 협력을 얻어 백공 승을 패배시켰다. 백공 승은 산중으로 도망하였다가 목을 매어 자살했다.[1]
2. 2. 팽창 정책과 영토 확장
楚 惠王중국어은 즉위 후 소왕 때 오나라와의 전쟁으로 수도 영(郢)이 함락되는 곤경을 겪었던 것을 교훈 삼아, 자서(子西), 자기(子期), 자려(子閭) 등을 중용하여 정치를 개혁하고, 백성들을 쉬게 했으며, 산업을 발전시켰다. 이를 통해 초나라를 빠르게 회복시켜 전국칠웅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1]기원전 480년, 오나라가 월나라에게 격파된 틈을 타 군사를 일으켜 오나라를 공격했다. 이로써 초나라는 오랫동안 오나라 때문에 겪었던 어려움을 끝낼 수 있었다.[1]
백공 승의 난 이후에도 혜왕은 대외 팽창 정책을 계속 추진하였다.[1]
기원전 478년, 자서의 아들인 무성윤(武城尹) 공손 조(朝)를 시켜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현으로 삼았다.[1]
기원전 477년, 파나라가 초나라를 공격하자 이를 크게 무찔렀다.[1]
기원전 476년 봄, 월나라가 초나라를 공격했다. 여름, 월나라 군사를 추격하여 격파하고 명(冥) 땅까지 이르렀다가 돌아왔다. 가을에는 월나라에 보복하고자 군사를 일으켜 동이(東夷)를 공격했다. 삼이(三夷, 지금의 저장성 닝보, 타이저우, 원저우 일대)가 초나라와 오(敖, 동이의 땅, 지금의 저장성 濱海에 위치) 땅에서 회맹하였는데, 이를 통해 초나라는 동해까지 세력을 뻗치게 되었고, 이후에도 회수와 동해 일대로 영토 확장을 멈추지 않았다.[1]
기원전 447년, 영윤 자발(子發)을 시켜 채나라를 멸망시켰다.[1]
기원전 445년, 기나라를 멸망시키고, 이어서 송나라도 공격했다.[1]
기원전 439년, 노나라 사람 공수반(公輸般)에게 명하여 운제(雲梯)를 만들게 하고 송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였다. 묵자가 이 소식을 듣고 혜왕에게 공수반의 운제를 막을 방도가 있다고 설득했고, 혜왕은 묵자와 공수반에게 모의 전투를 시켰다. 공수반이 여러 방법으로 공격했지만 묵자가 모두 막아내자, 혜왕은 공격 준비를 중단했다.[1]
2. 3. 묵자(墨子)와의 만남
기원전 439년, 초나라 사람인 공수반에게 운제를 만들게 하여 송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였다. 묵자가 이 소식을 듣고 혜왕을 찾아가 공수반의 운제를 막을 수 있다고 설득하였다. 혜왕은 묵자와 공수반에게 모의 전투를 시켰다. 공수반이 4가지 방법으로 묵자의 성 모형을 공격했지만, 묵자는 4가지 방법으로 모두 막아내어 승부가 나지 않았다. 공수반은 "선생을 이길 방법을 알고 있지만 말하지 않겠다"라고 말했고, 묵자는 "공수반이 저를 죽이면 송나라를 공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제 제자들이 송나라를 지킬 것입니다"라고 응수했다. 이에 혜왕은 공격 준비를 중단했다.2. 4. 죽음
楚惠王중국어 57년(-432년), 혜왕이 죽었다. 재위 기간은 57년이었다.[1] 아들인 간왕이 뒤를 이었다.[1]참조
[1]
서적
Shiji
[2]
웹사이트
楚世家 (House of Chu)
http://www.guoxue.co[...]
2012-03-01
[3]
웹사이트
BOOK XII. DUKE AI
http://www2.iath.vir[...]
2011-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